RHEL - Disk 추가 및 마운트 설정 방법 (fdisk, mkfs, fstab 활용)
RHEL 또는 CentOS 기반 리눅스 시스템에서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하고, 파티션 생성, 파일 시스템 포맷, 자동 마운트(fstab) 설정까지 한 번에 정리한 실무 가이드입니다. 시스템 운영 중 디스크 추가 시 꼭 필요한 과정으로, 실수 없는 설정을 위한 절차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 목차
- 디스크 추가 확인
- 파티션 생성 (fdisk)
- 파일 시스템 생성 (mkfs)
-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및 fstab 설정
- 마운트 및 확인
1. 디스크 추가 확인
디스크가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려면 fdisk -l
또는 lsblk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fdisk -l | grep sdc
Disk /dev/sdc: 959.7 GB, 959656755200 bytes, 1874329600 sectors
/dev/sdc1 * 1 4294967295 2147483647+ ee GPT
2. 파티션 생성 (fdisk)
/dev/sdc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fdisk /dev/sdc
Command (m for help): n
Select (default p): p
Partition number (1-4, default 1): 1
First sector (2048-1874329599, default 2048):
Last sector (2048-1874329599, default 1874329599):
Command (m for help): w
다시 확인:
fdisk -l | grep sdc
/dev/sdc1 2048 1874329599 937163776 83 Linux
파티션 테이블 변경 후에는 디스크를 다시 읽어야 합니다.
3. 파일 시스템 생성 (mkfs.xfs)
생성된 파티션에 X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mkfs.xfs -f /dev/sdc1
출력 예시:
meta-data=/dev/sdc1 isize=512 agcount=32, agsize=7321600 blks
data = bsize=4096 blocks=234290944, imaxpct=25
log =internal log bsize=4096 blocks=114432
XFS 외에도 ext4를 사용하려면 mkfs.ext4 /dev/sdc1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및 fstab 등록
📁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mkdir /sdc-data
📝 /etc/fstab 파일 수정
/etc/fstab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하여 재부팅 후에도 자동 마운트되도록 설정합니다.
/dev/sdc1 /sdc-data xfs defaults,_netdev 0 0
중요: 반드시 공백 및 탭 위치를 정확히 입력해야 시스템 부팅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5. 마운트 및 확인
📌 mount 명령으로 마운트 수행
mount -a
📌 df -h로 마운트 확인
df -h
/dev/sdc1 894G 34M 894G 1% /sdc-data
정상적으로 마운트되었다면 사용 준비 완료입니다.
📌 정리
- 신규 디스크는
fdisk
로 파티션 생성 mkfs
로 파일 시스템 생성 (XFS 추천)mkdir
로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etc/fstab
에 등록해 자동 마운트 설정mount -a
및df -h
로 확인
이 글은 RHEL 환경에서 자주 수행하는 디스크 마운트 절차를 정리한 가이드로, 실무에서 반복적인 설정 시 안정적이고 빠르게 디스크를 추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자동 마운트 설정은 실수하면 시스템 부팅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설정해야 하며, 사전에 mount -a
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작업은 루트 권한에서 수행하며,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변경 전 백업 또는 테스트 시스템에서 먼저 검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서버_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ournal User Guide – 리눅스 systemd-journald 완전 정복 (0) | 2025.05.17 |
---|---|
RHEL XFS LVM 디스크 증설 완벽 가이드 (0) | 2025.05.16 |
Bonding 인터페이스 수동 절체 방법 가이드 (0) | 2025.05.15 |
CPU 부하 테스트용 스크립트 작성 및 실행 가이드 (0) | 2025.05.15 |
lshw를 통한 network 종류 확인방법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