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M to KVM VM Live Migration 방법

2025. 5. 9. 00:17·가상화
728x90
반응형

KVM to KVM으로 Live Migration 하는 방법 (RHEL 8.8 기준)

KVM 환경에서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트 간 직접 Live Migration을 수행하는 절차를 정리했습니다. 이 글은 엔지니어가 실무에서 바로 따라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으며, RHEL 8.8 기반으로 테스트된 내용을 바탕으로 합니다.

📌 목차

  1. Live Migration 개요
  2. 마이그레이션 전 준비 사항
  3. Live Migration 절차
  4. 문제 해결 팁
  5. 마무리

 

1. Live Migration 개요

KVM to KVM 간의 Live Migration은 VM을 정지시키지 않고 실행 중인 상태에서 다른 호스트로 이전하는 방식입니다. 공유 스토리지(NFS 등)를 사용하는 경우 설정이 간단하지만, 이 글은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트 간 직접 이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RHEL 8.8 기준으로, 실제 마이그레이션 후 기존 호스트의 VM은 자동 종료(shutdown)되며, 대상 호스트에서는 VM이 Running 상태로 전환됩니다.

🔗 RedHat 공식 문서 - VM Migration

 

2. 마이그레이션 전 준비 사항

  • 브릿지 이름 일치: 출발지 KVM Host와 목적지 KVM Host의 브릿지 이름이 동일해야 합니다.
  • VM 상태: 마이그레이션할 VM은 running 상태여야 합니다.
  • qcow2 파일 준비: 대상 Host에 동일 이름의 qcow2 디스크를 미리 생성해야 합니다.
  • OS 버전 일치: 출발지/목적지 Host는 동일한 RHEL Major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 오류는 qcow2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error: Path '/var/lib/libvirt/images/rhel7-7-clone.qcow2' is not accessible: No such file or directory

 

3. Live Migration 절차

① 출발지 VM 확인

virsh list | grep rhel-net-
64   rhel-net-test-clone   running

② 대상 호스트에 qcow2 디스크 생성

qemu-img create -f qcow2 /var/lib/libvirt/images/rhel7-7-clone.qcow2 30G

③ Live Migration 수행

virsh migrate --live --copy-storage-all rhel-net-test-clone qemu+ssh://10.215.1.31/system tcp:10.215.1.31:49153
🔗 Libvirt Migration Wiki

④ A Host에서 VM 종료 확인

virsh list --all | grep rhel-net-
-    rhel-net-test-clone   shut off

⑤ B Host에서 VM 실행 상태 확인

virsh list --all
60   rhel-net-test-clone   실행 중

⑥ VM 접속 확인

ssh root@55.55.14.190
ip -4 a
eth0: inet 55.55.14.190/24

⑦ VM xml 파일 백업

virsh dumpxml rhel-net-test-clone > /etc/libvirt/qemu/rhel-net-test-clone.xml

⑧ VM 정의 및 재시작

virsh define /etc/libvirt/qemu/rhel-net-test-clone.xml
virsh start rhel-net-test-clone
🔗 virsh 명령어 공식 매뉴얼

 

4. 문제 해결 팁

  • VM 디스크 파일이 대상 호스트에 없으면 Live Migration은 실패합니다.
  • SSH 기반의 qemu URI를 사용하기 때문에 root 또는 libvirt 그룹에 속한 계정으로 SSH 접속이 가능해야 합니다.
  • 양쪽 KVM Host에서 libvirtd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며, 포트 49153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5. 마무리

이 글에서는 KVM 환경에서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하지 않고 RHEL 기반 KVM to KVM Live Migration을 실무 환경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핵심은 qcow2 파일의 사전 생성과 브릿지 인터페이스의 일치이며, 이를 통해 VM을 중단 없이 안전하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모든 과정은 virsh 기반 CLI 명령어로 수행되며, 엔지니어가 실제 환경에서 그대로 따라하면 되는 실용적인 절차입니다.

 


728x90
반응형

'가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Image로 KVM에서 VM 생성하기  (0) 2025.05.19
RHEL7 환경에서 RHEL8 qcow2 이미지 작업 시 virt-customize 오류 해결 방법  (0) 2025.05.18
'가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loud Image로 KVM에서 VM 생성하기
  • RHEL7 환경에서 RHEL8 qcow2 이미지 작업 시 virt-customize 오류 해결 방법
레시피 마스터
레시피 마스터
클라우드 환경에서 OS, 자동화, 컴퓨팅등 알고 있는 지식으로 공유하는데 활용
  • 레시피 마스터
    클라우드 구축 레시피
    레시피 마스터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6) N
      • Linux (15)
      • Virtualization (2)
      • OpenStack (2)
      • Container (13)
      • Monitoring (1)
      • Infra as Code (IaC) (0)
      • 서버_OS (13) N
      • 가상화 (3) N
      • 클라우드 컴퓨팅 (5) N
      • 컨테이너 플랫폼 (3)
      • 자동화 (2) N
      • 데이터베이스 (2)
      • 모니터링 (5) N
  • 블로그 메뉴

    • 홈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prometheus 설치 방법
    node exporter 구성
    리눅스 마이그레이션
    linuxbackup
    ansible vault 사용법
    rear backup and restore
    yaml보안
    ansible암호화
    ansible 파일 암호화
    rhel
    리눅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linux 백업 복구 rear
    prometheus node_exporter 연동
    ansible-vault encrypt decrypt
    relax and recover 사용법
  • 최근 댓글

  • 최근 글

  •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레시피 마스터
KVM to KVM VM Live Migration 방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