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RHEL 8.2에서 발생하는 UnicodeEncodeError 해결 방법
RHEL 8.2 Minimal 설치 후, subscription
등록이나 dnf install
명령어를 실행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동작에는 문제가 없지만,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아래 방법을 참고하세요.
발생하는 에러 메시지
UnicodeEncodeError: 'ascii' codec can't encode characters in position 89-91: ordinal not in range(128)
...
Message: '시스템 DMI 정보를 읽는 도중 오류 발생: %s'
Arguments: ('# SMBIOS implementations newer than version 2.7 are not\n# fully supported by this version of dmidecode.\n\n',)
문제 원인
이 에러는 시스템의 로케일 설정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ascii
인코딩을 사용하려고 하지만, 한국어 등의 다국어 문자를 처리할 수 없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특히, 시스템 DMI 정보 읽기 과정에서 해당 문자가 제대로 인코딩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해결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시스템의 로케일 설정을 수정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해보세요:
1. /etc/bashrc
파일 수정
[root@ansible-tower ~]# vi /etc/bashrc
파일 맨 하단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
fi
# vim:ts=4:sw=4
export LANG=en_US.UTF-8
export LANGUAGE=en_US.UTF-8
export LC_COLLATE=C
export LC_CTYPE=en_US.UTF-8
위 설정은 시스템의 기본 로케일을 en_US.UTF-8
로 설정하여 문자 인코딩 문제를 해결합니다. 수정이 완료되면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2. 변경 사항 적용
[root@ansible-tower ~]# source ~/.bashrc
위 명령어를 통해 변경된 설정을 적용합니다. 이제 시스템에서 로케일 문제가 해결되어, 위와 같은 UnicodeEncodeError가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참고 링크
RHEL 8 공식 문서 Linux Locale Man Page Fix UnicodeEncodeError in Linux
728x90
반응형
'Linux > RHEL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net-tools vs iproute CLI (0) | 2021.07.08 |
---|---|
[Linux] Password 복잡성 무시하고 강제로 비번 설정방법 (0) | 2021.07.08 |
[RHEL7] XFS LVM 디스크 증설 (용량 늘리기) (0) | 2021.07.05 |
[RHEL7] Disk 추가 및 mount 설정 (0) | 2021.07.05 |
[RHEL7] Bonding 수동으로 절체 방법 (0) | 2021.07.01 |